생산자 Creator

0007, 정인국

분류번호
0007

이름
정인국 (鄭寅國)

생년월일
1916-1975

출생지
황해도 재령읍 문창리

1934.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1942.
일본 와세다대학교 이공학부 건축과 졸업

1942.
일본 도쿄 일산토목주식회사 건설부 입사

1943.
중국 관동주 대건 일산토목회사 지사
만주 안동현 낭투지사

1946. 
황해도 재령공업전문학교 교수 역임

1948.
평양공업대학 건축학부 교수

1950. 
월남

 

1950.
동국건설주식회사 입사

1951.
대한중석회사 상동 광업소 공무과 입사

1952.
부산 피난수도
서울대학교 건축과 강의

1954.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건축과장 취임
신건축문화연구소 창설(정인국, 엄덕문, 김희춘, 배기형, 김창집, 함성권)
설계: 인하공대 기계공학관

1955.
인하대학교 건설 책임
제4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설계: 공군본부청사 현상설계 참여, 공군사관학교, 인하공과대학 기숙사

1956.
설계: 신도극장(대전), 반도극장(서울)

1957.
대한건축작가협회 창립 멤버(현 한국건축가협회 전신)
설계: 홍익대학교 본관

1958.
남산 국회의사당 현상설계 심사위원
설계: 국립중앙관상대, 서울 중부시장 ,충주비료공장 외인주택(기숙사)

1959.
제8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설계: 미우만백화점(서울), 정인욱 사장댁

1960.
남산 국회의사당 건설위원회 상임위원
UNESCO 국제조형미술가협회 총회 한국대표

1961.
제10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서울시 문화재보존위원
설계: 마포아파트 참여

1962.
한국건축가협회 부회장 역임(-1964)
제11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설계: 한국전력주식회사 별관(서울, 강명구 합작), 해운센터(부산, 강명구 합작)

1963.
제12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설계: 조흥은행 본점(서울, 합작), 요업센터 연구소(마산)
논문: 건축양식 발전의 주기성과 이원성

1964.
홍익대학교 건축학부장
한국건축가협회 부회장(-1965)
제13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1965.
건축사시험 고시위원
요업센터 건설위원회 위원
제14회 서울시 건설부문 문화상 수상
저서: 근대건축론

1966.
설계: 방콕국제무역전람회 한국관(태국, 1966), 대도약품 배사장 댁(서울), 서울시 교육위원회 청사(서울)

1967.
제16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정부종합청사 현상설계 심사위원
조선호텔 설계자문위원
설계: 요업센터 타일공장, 증권거래소 현상설계 참여
저서: 서양건축사
논문: 한국현대건축 20년, 세계건축 조류 속의 한국건축

1968.
제17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정부종합청사 건설자문위원
여의도 국회의사당 신축계획설계안 현상공모 심사위원
설계: 천도교 수운회관(서울), 법무부 형교도소(마산)
논문: 현대전위건축가 군상과 그 특질

1969.
설계: 상수동 자택, 유아빌딩, 국회의장 공관

1970.
영남대학교 박물관 계획안
저서: 현대건축론
논문: 20세기 후분의 유럽건축사조 개설

1971.
문공부, 문화재위원
대한민국 미술전람회 건축부 심사위원
설계: 유도회관(서울), 법무부 종합청사(서울)

1972.
홍익대학교 연구소
설계: 해인사 경판고(경북 합천), 하와이대학 한국학센터(합작)
논문: 한국현대건축의 발굴

1973.
홍익대학교 대학원장
홍익대학교 부설 건축 및 도시계획연구소 소장
서울특별시 건축심의위원
설계: 외환은행 본점 지명현상설계 참여

1974.
공학박사 취득
한국건축가협회 회장(-1976)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수여
설계: Korea Pavilion, Western Michigan University
논문: 20세기 후반의 구주歐洲 건축, 한국의 현대건축, 민족박물관 건랍과 표현상의 전통문제, 문예중흥과 건축에 관한 세미나, 한국의 전통문제
저서: 한국건축양식론

1975.
제12회 UIA 총회(베니스) 한국 수석대표
저서: 최신 서양건축사, 한국의 건축(세종기념사업회)
논문: 쌍S자문 조각수법에 관한 연구

1976.
대한건축학회사 추서 학술부문